서울 공공임대주택 8만, 도심 7만호 차질 없나?…“3년간 공급 늘린다”
입력 2020.07.07 (21:07)
수정 2020.07.08 (14: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공급을 늘리란 요구가 계속되지만 주택 공급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서울시는 공급량은 충분하단 입장입니다.
그럼, 그린벨트 해제는 절대 안된다면서 서울시가 대신 꺼내든 공급 대책들은 잘 진행되고 있을까요?
구경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도로 위에 인공 대지를 올려 99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기로 한 곳입니다.
내년 착공을 앞두고 국제공모를 거쳐 설계가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도로 위 주택 건설을 취소해 달라며 찬반투표까지 하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교통대란도 있을 거 같아요. 그러잖아도 아침에 엄청 막히거든요. 다들 반대들을 많이 하셔요."]
2018년 말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8만 호를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까지 도심형 주택공급 3만 5천 호, 저층 주거지 활성화 만 6천 호 등입니다.
주로 주택을 사들여 공급한 지난해에는 4천여 호 공급 목표를 지켰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이 주택 건설을 반대하고 있고 주택을 건설해 공급하는 방식은 착공 전 행정절차에만 2년이 걸립니다.
[윤옥광/서울시 공공주택계획팀장 :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수립해서 각종 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가 되기 때문에 절차가 보통 2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용산정비창 8천 호를 비롯해 공공재개발 방식의 7만 호 추가 공급책도 아직 제도정비 단계입니다.
착공 전이어서 체감하지 못할 뿐 주택 공급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합니다.
최근 3년 간 연평균 4만 호의 아파트를 포함해 주택 공급은 계속 증가했고 내후년까지 10년 평균보다 35%가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는 겁니다.
또 집값 상승이 공급 부족이 아닌 과잉유동성 때문인 만큼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가 없다는 게 서울시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 노동수 영상편집 신승기 그래픽 박미주
[알립니다] 그래픽 '정비사업 활용 0.6만 호'를 '0.4만 호'로 바로잡습니다.
공급을 늘리란 요구가 계속되지만 주택 공급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서울시는 공급량은 충분하단 입장입니다.
그럼, 그린벨트 해제는 절대 안된다면서 서울시가 대신 꺼내든 공급 대책들은 잘 진행되고 있을까요?
구경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도로 위에 인공 대지를 올려 99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기로 한 곳입니다.
내년 착공을 앞두고 국제공모를 거쳐 설계가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도로 위 주택 건설을 취소해 달라며 찬반투표까지 하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교통대란도 있을 거 같아요. 그러잖아도 아침에 엄청 막히거든요. 다들 반대들을 많이 하셔요."]
2018년 말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8만 호를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까지 도심형 주택공급 3만 5천 호, 저층 주거지 활성화 만 6천 호 등입니다.
주로 주택을 사들여 공급한 지난해에는 4천여 호 공급 목표를 지켰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이 주택 건설을 반대하고 있고 주택을 건설해 공급하는 방식은 착공 전 행정절차에만 2년이 걸립니다.
[윤옥광/서울시 공공주택계획팀장 :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수립해서 각종 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가 되기 때문에 절차가 보통 2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용산정비창 8천 호를 비롯해 공공재개발 방식의 7만 호 추가 공급책도 아직 제도정비 단계입니다.
착공 전이어서 체감하지 못할 뿐 주택 공급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합니다.
최근 3년 간 연평균 4만 호의 아파트를 포함해 주택 공급은 계속 증가했고 내후년까지 10년 평균보다 35%가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는 겁니다.
또 집값 상승이 공급 부족이 아닌 과잉유동성 때문인 만큼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가 없다는 게 서울시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 노동수 영상편집 신승기 그래픽 박미주
[알립니다] 그래픽 '정비사업 활용 0.6만 호'를 '0.4만 호'로 바로잡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공공임대주택 8만, 도심 7만호 차질 없나?…“3년간 공급 늘린다”
-
- 입력 2020-07-07 21:10:06
- 수정2020-07-08 14:19:37

[앵커]
공급을 늘리란 요구가 계속되지만 주택 공급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서울시는 공급량은 충분하단 입장입니다.
그럼, 그린벨트 해제는 절대 안된다면서 서울시가 대신 꺼내든 공급 대책들은 잘 진행되고 있을까요?
구경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도로 위에 인공 대지를 올려 99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기로 한 곳입니다.
내년 착공을 앞두고 국제공모를 거쳐 설계가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도로 위 주택 건설을 취소해 달라며 찬반투표까지 하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교통대란도 있을 거 같아요. 그러잖아도 아침에 엄청 막히거든요. 다들 반대들을 많이 하셔요."]
2018년 말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8만 호를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까지 도심형 주택공급 3만 5천 호, 저층 주거지 활성화 만 6천 호 등입니다.
주로 주택을 사들여 공급한 지난해에는 4천여 호 공급 목표를 지켰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이 주택 건설을 반대하고 있고 주택을 건설해 공급하는 방식은 착공 전 행정절차에만 2년이 걸립니다.
[윤옥광/서울시 공공주택계획팀장 :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수립해서 각종 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가 되기 때문에 절차가 보통 2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용산정비창 8천 호를 비롯해 공공재개발 방식의 7만 호 추가 공급책도 아직 제도정비 단계입니다.
착공 전이어서 체감하지 못할 뿐 주택 공급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합니다.
최근 3년 간 연평균 4만 호의 아파트를 포함해 주택 공급은 계속 증가했고 내후년까지 10년 평균보다 35%가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는 겁니다.
또 집값 상승이 공급 부족이 아닌 과잉유동성 때문인 만큼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가 없다는 게 서울시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 노동수 영상편집 신승기 그래픽 박미주
[알립니다] 그래픽 '정비사업 활용 0.6만 호'를 '0.4만 호'로 바로잡습니다.
공급을 늘리란 요구가 계속되지만 주택 공급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서울시는 공급량은 충분하단 입장입니다.
그럼, 그린벨트 해제는 절대 안된다면서 서울시가 대신 꺼내든 공급 대책들은 잘 진행되고 있을까요?
구경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도로 위에 인공 대지를 올려 99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기로 한 곳입니다.
내년 착공을 앞두고 국제공모를 거쳐 설계가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도로 위 주택 건설을 취소해 달라며 찬반투표까지 하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교통대란도 있을 거 같아요. 그러잖아도 아침에 엄청 막히거든요. 다들 반대들을 많이 하셔요."]
2018년 말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8만 호를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까지 도심형 주택공급 3만 5천 호, 저층 주거지 활성화 만 6천 호 등입니다.
주로 주택을 사들여 공급한 지난해에는 4천여 호 공급 목표를 지켰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이 주택 건설을 반대하고 있고 주택을 건설해 공급하는 방식은 착공 전 행정절차에만 2년이 걸립니다.
[윤옥광/서울시 공공주택계획팀장 :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수립해서 각종 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가 되기 때문에 절차가 보통 2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용산정비창 8천 호를 비롯해 공공재개발 방식의 7만 호 추가 공급책도 아직 제도정비 단계입니다.
착공 전이어서 체감하지 못할 뿐 주택 공급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합니다.
최근 3년 간 연평균 4만 호의 아파트를 포함해 주택 공급은 계속 증가했고 내후년까지 10년 평균보다 35%가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는 겁니다.
또 집값 상승이 공급 부족이 아닌 과잉유동성 때문인 만큼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가 없다는 게 서울시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 노동수 영상편집 신승기 그래픽 박미주
[알립니다] 그래픽 '정비사업 활용 0.6만 호'를 '0.4만 호'로 바로잡습니다.
-
-
구경하 기자 isegoria@kbs.co.kr
구경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