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전KPS 400억대 손실 막았더니…‘따돌림’에 해고까지
입력 2020.07.07 (21:23)
수정 2020.07.07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직원이 수백억 원대의 잠재적 손실을 막았다면 일반적인 회사에선 성과급이나 특별휴가 같은 포상을 하겠죠.
그런데 한 공기업에서 이런 기여를 한 직원이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결국 해고를 당했습니다.
무슨 일인지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국전력의 자회사 한전KPS의 보도자료입니다.
광양제철소의 발전소 기능 개선 사업을 수주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사업 계약 체결을 앞두고 내부에서 계약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610억 원의 총 사업 금액 가운데 한전KPS가 따낸 부분은 191억 원뿐.
그런데 다른 업체들이 책임져야 하는 사업 위약금까지 모두 한전KPS가 부담하는 조건이었던 겁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준공 지연이 됐을 때 저희(한전KPS)가 전체 계약 금액 610억 원을, 다른 회사가 책임져야 하는 금액까지 부담해야 하는 그런 독소조항이 발견됐습니다."]
자칫 큰 손실을 떠안을 수 있는 조항을 찾아낸 건 전문계약직 이 모 씨.
그런데 이 씨가 여러 차례 보고해도, 심지어 외부 법률 자문에서도 같은 지적이 나왔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습니다.
최종 계약 직전 사장 주재 회의에서 이 씨가 이 사실을 보고하자, 그제야 문제를 인식한 경영진이 계약 절차를 중단시켰고, 책임 금액을 낮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노골적인 따돌림이 시작됐습니다.
사장 주재 회의 참석이 금지되고 실장 보직에서도 물러났습니다.
늘 최고점에 가까웠던 인사 평가는 최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참다못한 이 씨가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했지만 회사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텅 빈 회의실에서 넉 달간 혼자 지내다 결국 해고됐습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수차례 면담을 하고 적합한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일도 못 하고 혼자서 식사하고 하루종일 말 한마디도 못 하고…."]
한전KPS는 이 씨의 업무가 필요 없어져 계약을 해지했고, 직장 내 괴롭힘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서에 대한 이 씨의 문제 제기가 경영진에게 보고되지 않은 건 시점의 문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김갑식/한전KPS 인사혁신실 처장 : "시점이 언제 보고할 거냐 이거잖아요. 대안을 가져가지 않으면 보고하기 어렵거든요."]
해고된 이 씨는 해고 무효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직원이 수백억 원대의 잠재적 손실을 막았다면 일반적인 회사에선 성과급이나 특별휴가 같은 포상을 하겠죠.
그런데 한 공기업에서 이런 기여를 한 직원이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결국 해고를 당했습니다.
무슨 일인지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국전력의 자회사 한전KPS의 보도자료입니다.
광양제철소의 발전소 기능 개선 사업을 수주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사업 계약 체결을 앞두고 내부에서 계약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610억 원의 총 사업 금액 가운데 한전KPS가 따낸 부분은 191억 원뿐.
그런데 다른 업체들이 책임져야 하는 사업 위약금까지 모두 한전KPS가 부담하는 조건이었던 겁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준공 지연이 됐을 때 저희(한전KPS)가 전체 계약 금액 610억 원을, 다른 회사가 책임져야 하는 금액까지 부담해야 하는 그런 독소조항이 발견됐습니다."]
자칫 큰 손실을 떠안을 수 있는 조항을 찾아낸 건 전문계약직 이 모 씨.
그런데 이 씨가 여러 차례 보고해도, 심지어 외부 법률 자문에서도 같은 지적이 나왔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습니다.
최종 계약 직전 사장 주재 회의에서 이 씨가 이 사실을 보고하자, 그제야 문제를 인식한 경영진이 계약 절차를 중단시켰고, 책임 금액을 낮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노골적인 따돌림이 시작됐습니다.
사장 주재 회의 참석이 금지되고 실장 보직에서도 물러났습니다.
늘 최고점에 가까웠던 인사 평가는 최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참다못한 이 씨가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했지만 회사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텅 빈 회의실에서 넉 달간 혼자 지내다 결국 해고됐습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수차례 면담을 하고 적합한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일도 못 하고 혼자서 식사하고 하루종일 말 한마디도 못 하고…."]
한전KPS는 이 씨의 업무가 필요 없어져 계약을 해지했고, 직장 내 괴롭힘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서에 대한 이 씨의 문제 제기가 경영진에게 보고되지 않은 건 시점의 문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김갑식/한전KPS 인사혁신실 처장 : "시점이 언제 보고할 거냐 이거잖아요. 대안을 가져가지 않으면 보고하기 어렵거든요."]
해고된 이 씨는 해고 무효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한전KPS 400억대 손실 막았더니…‘따돌림’에 해고까지
-
- 입력 2020-07-07 21:26:15
- 수정2020-07-07 22:11:32

[앵커]
직원이 수백억 원대의 잠재적 손실을 막았다면 일반적인 회사에선 성과급이나 특별휴가 같은 포상을 하겠죠.
그런데 한 공기업에서 이런 기여를 한 직원이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결국 해고를 당했습니다.
무슨 일인지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국전력의 자회사 한전KPS의 보도자료입니다.
광양제철소의 발전소 기능 개선 사업을 수주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사업 계약 체결을 앞두고 내부에서 계약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610억 원의 총 사업 금액 가운데 한전KPS가 따낸 부분은 191억 원뿐.
그런데 다른 업체들이 책임져야 하는 사업 위약금까지 모두 한전KPS가 부담하는 조건이었던 겁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준공 지연이 됐을 때 저희(한전KPS)가 전체 계약 금액 610억 원을, 다른 회사가 책임져야 하는 금액까지 부담해야 하는 그런 독소조항이 발견됐습니다."]
자칫 큰 손실을 떠안을 수 있는 조항을 찾아낸 건 전문계약직 이 모 씨.
그런데 이 씨가 여러 차례 보고해도, 심지어 외부 법률 자문에서도 같은 지적이 나왔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습니다.
최종 계약 직전 사장 주재 회의에서 이 씨가 이 사실을 보고하자, 그제야 문제를 인식한 경영진이 계약 절차를 중단시켰고, 책임 금액을 낮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노골적인 따돌림이 시작됐습니다.
사장 주재 회의 참석이 금지되고 실장 보직에서도 물러났습니다.
늘 최고점에 가까웠던 인사 평가는 최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참다못한 이 씨가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했지만 회사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텅 빈 회의실에서 넉 달간 혼자 지내다 결국 해고됐습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수차례 면담을 하고 적합한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일도 못 하고 혼자서 식사하고 하루종일 말 한마디도 못 하고…."]
한전KPS는 이 씨의 업무가 필요 없어져 계약을 해지했고, 직장 내 괴롭힘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서에 대한 이 씨의 문제 제기가 경영진에게 보고되지 않은 건 시점의 문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김갑식/한전KPS 인사혁신실 처장 : "시점이 언제 보고할 거냐 이거잖아요. 대안을 가져가지 않으면 보고하기 어렵거든요."]
해고된 이 씨는 해고 무효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직원이 수백억 원대의 잠재적 손실을 막았다면 일반적인 회사에선 성과급이나 특별휴가 같은 포상을 하겠죠.
그런데 한 공기업에서 이런 기여를 한 직원이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결국 해고를 당했습니다.
무슨 일인지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국전력의 자회사 한전KPS의 보도자료입니다.
광양제철소의 발전소 기능 개선 사업을 수주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사업 계약 체결을 앞두고 내부에서 계약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610억 원의 총 사업 금액 가운데 한전KPS가 따낸 부분은 191억 원뿐.
그런데 다른 업체들이 책임져야 하는 사업 위약금까지 모두 한전KPS가 부담하는 조건이었던 겁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준공 지연이 됐을 때 저희(한전KPS)가 전체 계약 금액 610억 원을, 다른 회사가 책임져야 하는 금액까지 부담해야 하는 그런 독소조항이 발견됐습니다."]
자칫 큰 손실을 떠안을 수 있는 조항을 찾아낸 건 전문계약직 이 모 씨.
그런데 이 씨가 여러 차례 보고해도, 심지어 외부 법률 자문에서도 같은 지적이 나왔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습니다.
최종 계약 직전 사장 주재 회의에서 이 씨가 이 사실을 보고하자, 그제야 문제를 인식한 경영진이 계약 절차를 중단시켰고, 책임 금액을 낮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노골적인 따돌림이 시작됐습니다.
사장 주재 회의 참석이 금지되고 실장 보직에서도 물러났습니다.
늘 최고점에 가까웠던 인사 평가는 최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참다못한 이 씨가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했지만 회사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
텅 빈 회의실에서 넉 달간 혼자 지내다 결국 해고됐습니다.
[이 모 씨/전 한전KPS 사업기획실장 : "수차례 면담을 하고 적합한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일도 못 하고 혼자서 식사하고 하루종일 말 한마디도 못 하고…."]
한전KPS는 이 씨의 업무가 필요 없어져 계약을 해지했고, 직장 내 괴롭힘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서에 대한 이 씨의 문제 제기가 경영진에게 보고되지 않은 건 시점의 문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김갑식/한전KPS 인사혁신실 처장 : "시점이 언제 보고할 거냐 이거잖아요. 대안을 가져가지 않으면 보고하기 어렵거든요."]
해고된 이 씨는 해고 무효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