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보다 소비가 더 부진…“정년·임금 풀어야 해법”

입력 2025.04.23 (21:39) 수정 2025.04.24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제통화기금, 아이엠에프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로 확 낮췄습니다.

그런데, 이 성장 못지않게 소비도 걱정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성장보다 소비가 더 부진한 상황인데요.

이유와 해법을 김진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산의 그랜드백화점이 지난달 폐점했습니다.

29년 전 문을 열 땐 일산 최고 상권이었지만, 옛날얘기가 됐습니다.

[인근 상인 : "(주 고객층이) 전부 할머니들인데 여기 겸사겸사 밑에 가서 밥 한 끼 먹고…(요즘은) 다 인터넷으로 사고 하니까."]

고양시는 경기도 시군 중 65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습니다.

이 점도 폐점에 한몫했습니다.

쓸 수 있는 소득이 100일 때 지난해 30대 이하는 68, 40대는 74 정도를 썼습니다.

하지만, 60대는 60까지 줄어듭니다.

나이가 들수록 소비를 줄이는 건데, 요즘은 젊은 층도 닮아갑니다.

20년 전과 비교해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전보다 덜 쓴 게 확연합니다.

[조건희/서울 금천구/30대 : "내가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까…결국에는 내가 죽거나 아프기 전에 어떻게 그걸 감당할 수 있는 자산을 마련해야 하나 그런 고민이 (있습니다)."]

미래의 은퇴를 대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는 경향.

내수가 망가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까지 20년 동안 GDP가 매년 4.1%꼴 성장할 때, 민간 소비는 3.0%씩 증가했습니다.

쉽게 말해, 버는 만큼도 안 쓰는 겁니다.

[김미루/KDI 연구위원 : "돈을 벌고 있는 동안에도 나중에 여생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저축을 많이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요."]

소비를 살리려면 은퇴 이후 소득 문제를 어떻게든 풀어야 한단 뜻입니다.

KDI는 호봉제 위주의 임금 구조를 바꾸고 퇴직 후 재고용을 늘려야 소비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장보다 소비가 더 부진…“정년·임금 풀어야 해법”
    • 입력 2025-04-23 21:39:14
    • 수정2025-04-24 07:55:09
    뉴스 9
[앵커]

국제통화기금, 아이엠에프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로 확 낮췄습니다.

그런데, 이 성장 못지않게 소비도 걱정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성장보다 소비가 더 부진한 상황인데요.

이유와 해법을 김진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산의 그랜드백화점이 지난달 폐점했습니다.

29년 전 문을 열 땐 일산 최고 상권이었지만, 옛날얘기가 됐습니다.

[인근 상인 : "(주 고객층이) 전부 할머니들인데 여기 겸사겸사 밑에 가서 밥 한 끼 먹고…(요즘은) 다 인터넷으로 사고 하니까."]

고양시는 경기도 시군 중 65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습니다.

이 점도 폐점에 한몫했습니다.

쓸 수 있는 소득이 100일 때 지난해 30대 이하는 68, 40대는 74 정도를 썼습니다.

하지만, 60대는 60까지 줄어듭니다.

나이가 들수록 소비를 줄이는 건데, 요즘은 젊은 층도 닮아갑니다.

20년 전과 비교해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전보다 덜 쓴 게 확연합니다.

[조건희/서울 금천구/30대 : "내가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까…결국에는 내가 죽거나 아프기 전에 어떻게 그걸 감당할 수 있는 자산을 마련해야 하나 그런 고민이 (있습니다)."]

미래의 은퇴를 대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는 경향.

내수가 망가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까지 20년 동안 GDP가 매년 4.1%꼴 성장할 때, 민간 소비는 3.0%씩 증가했습니다.

쉽게 말해, 버는 만큼도 안 쓰는 겁니다.

[김미루/KDI 연구위원 : "돈을 벌고 있는 동안에도 나중에 여생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저축을 많이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요."]

소비를 살리려면 은퇴 이후 소득 문제를 어떻게든 풀어야 한단 뜻입니다.

KDI는 호봉제 위주의 임금 구조를 바꾸고 퇴직 후 재고용을 늘려야 소비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김현태/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