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3주 안에 대중 관세율 결정…차 부품 일부 면세”

입력 2025.04.24 (12:19) 수정 2025.04.24 (1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하겠다며, 대중국 관세도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차량 부품 일부에 대해서도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뉴욕증시는 이틀째 상승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습니다.

현재 90개국과 관세 협상 중인데 곧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중국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2~3주 안에 관세율을 정할 겁니다. (중국은요?) 선택해야죠. 중국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 직접적인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관세율 인하 시점은 중국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호응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재무장관까지 나서서 협상을 강조하면서 미·중 간 관세 전쟁 완화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빅딜(큰 합의)의 기회가 있습니다. 중국이 제조업 주도의 수출을 줄이고 내수를 늘리는 데 진지하다면요."]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재 145%에 이르는 대중 관세율이 안보 위협 수준에 따라 50에서 65% 수준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더해 미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차량 부품 수입에 매기는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는 로이터 통신의 보도도 나왔습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해임할 뜻이 없다고 분명히 밝힌 데다 관세에 대해서도 유연한 입장이 이어지자 뉴욕증시는 반색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한때 4% 넘게 오르는 등 급등세를 보였고, 모처럼 3대 지수가 이틀 연속 동반 상승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자료조사:김나영/화면출처:IIF UNTV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 관세율 결정…차 부품 일부 면세”
    • 입력 2025-04-24 12:19:46
    • 수정2025-04-24 13:08:00
    뉴스 12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하겠다며, 대중국 관세도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차량 부품 일부에 대해서도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뉴욕증시는 이틀째 상승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습니다.

현재 90개국과 관세 협상 중인데 곧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중국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2~3주 안에 관세율을 정할 겁니다. (중국은요?) 선택해야죠. 중국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 직접적인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관세율 인하 시점은 중국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호응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재무장관까지 나서서 협상을 강조하면서 미·중 간 관세 전쟁 완화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빅딜(큰 합의)의 기회가 있습니다. 중국이 제조업 주도의 수출을 줄이고 내수를 늘리는 데 진지하다면요."]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재 145%에 이르는 대중 관세율이 안보 위협 수준에 따라 50에서 65% 수준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더해 미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차량 부품 수입에 매기는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는 로이터 통신의 보도도 나왔습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해임할 뜻이 없다고 분명히 밝힌 데다 관세에 대해서도 유연한 입장이 이어지자 뉴욕증시는 반색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한때 4% 넘게 오르는 등 급등세를 보였고, 모처럼 3대 지수가 이틀 연속 동반 상승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자료조사:김나영/화면출처:IIF UNTV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