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복귀 의대생 유급 오늘 확정…24~26학번 동시 수업 우려

입력 2025.04.30 (19:34) 수정 2025.04.30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 밤 12시까지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들은 학칙에 따라 유급 처리될 예정입니다.

적어도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내년에 세 학번이 같은 수업을 듣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과대학.

개강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강의실은 텅 비었습니다.

실습실에서도, 도서관에서도 학생들을 보기 어렵습니다.

집단 휴학을 촉발했던 의대 증원은 사실상 없던 일이 됐지만, 의대생 복귀율은 여전히 30%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서면 그때 좀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라는…. 학사 유연화 조치를 어차피 작년처럼 해줄 것 같으니까."]

정부와 대학은 더 이상 예외 조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교육부는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오늘 기준으로 수업 거부 학생들을 유급 처리하고, 개강 연기 등 예외를 둔 대학엔 '근거 규정'을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교육부는 의대 학장단과의 간담회를 통해서도 오늘까지 복귀를 안 하면 유급이 확정된다고 못 박았습니다.

내년 24, 25, 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듣는 최악의 경우까지 대비해야 할 상황입니다.

일부 대학은 학칙까지 개정해 내년 신입생인 26학번이 먼저 수업을 듣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해우/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 : "제일 피해 보는 학생들이 24, 25학번이거든요. 26학번이 먼저 졸업하는 그런 경우도 생길 수 있고요."]

유급이 반복될 경우 대규모 제적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일부 의대들은 결원을 모두 편입생으로 채울 수 있도록 편입생 선발 방식을 바꿔 달라고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복귀 의대생 유급 오늘 확정…24~26학번 동시 수업 우려
    • 입력 2025-04-30 19:34:36
    • 수정2025-04-30 22:13:01
    뉴스 7
[앵커]

오늘 밤 12시까지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들은 학칙에 따라 유급 처리될 예정입니다.

적어도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내년에 세 학번이 같은 수업을 듣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과대학.

개강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강의실은 텅 비었습니다.

실습실에서도, 도서관에서도 학생들을 보기 어렵습니다.

집단 휴학을 촉발했던 의대 증원은 사실상 없던 일이 됐지만, 의대생 복귀율은 여전히 30%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서면 그때 좀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라는…. 학사 유연화 조치를 어차피 작년처럼 해줄 것 같으니까."]

정부와 대학은 더 이상 예외 조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교육부는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오늘 기준으로 수업 거부 학생들을 유급 처리하고, 개강 연기 등 예외를 둔 대학엔 '근거 규정'을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교육부는 의대 학장단과의 간담회를 통해서도 오늘까지 복귀를 안 하면 유급이 확정된다고 못 박았습니다.

내년 24, 25, 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듣는 최악의 경우까지 대비해야 할 상황입니다.

일부 대학은 학칙까지 개정해 내년 신입생인 26학번이 먼저 수업을 듣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해우/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 : "제일 피해 보는 학생들이 24, 25학번이거든요. 26학번이 먼저 졸업하는 그런 경우도 생길 수 있고요."]

유급이 반복될 경우 대규모 제적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일부 의대들은 결원을 모두 편입생으로 채울 수 있도록 편입생 선발 방식을 바꿔 달라고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