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입력 2025.05.05 (19:10)
수정 2025.05.05 (2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영화에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또, 헌법을 무시하는 발언을 하는가 하면 영화로도 유명한 앨커트래즈 교도소를 부활시키겠다고도 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목표는 영화입니다.
대상은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입니다.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 100% 관세 부과를 지시했다고 SNS를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 영화가 다른 나라에서 촬영지와 인센티브를 제공받으며 제작되는데, 이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논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건(인센티브 제공)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 일이죠. 이건 매우 인기 있는 일이었고, 영화 제작자들은 이걸 좋아합니다."]
미국 내에서는 어떻게 관세를 부과할지 불분명하고, 보복 관세가 시작되면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우려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내에선 불법 이민 문제로 현행법과 충돌 중인데, 이번엔 헌법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불법 체류자 강제 추방과 관련해 헌법 수호 여부를 묻는 언론의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대통령으로서 미국 헌법을 수호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잘 모르겠네요. 당신이 말하는 것은 내가 들은 대법원 판결과 다릅니다. 대법원은 다른 해석을 하고 있어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60여년 전 폐쇄된 앨커트래즈 교도소 문을 다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흉악한 중범죄자 수감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 거기에 불법 이민자도 포함시켰습니다.
지금은 관광지가 된 앨커트래즈섬은 한때 탈옥이 불가능한 감옥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편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데려오기 위한 선제적 관세 인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을 원하는 건 중국 측이라면서 다만 어느 시점에선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자료조사:권애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영화에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또, 헌법을 무시하는 발언을 하는가 하면 영화로도 유명한 앨커트래즈 교도소를 부활시키겠다고도 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목표는 영화입니다.
대상은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입니다.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 100% 관세 부과를 지시했다고 SNS를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 영화가 다른 나라에서 촬영지와 인센티브를 제공받으며 제작되는데, 이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논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건(인센티브 제공)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 일이죠. 이건 매우 인기 있는 일이었고, 영화 제작자들은 이걸 좋아합니다."]
미국 내에서는 어떻게 관세를 부과할지 불분명하고, 보복 관세가 시작되면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우려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내에선 불법 이민 문제로 현행법과 충돌 중인데, 이번엔 헌법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불법 체류자 강제 추방과 관련해 헌법 수호 여부를 묻는 언론의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대통령으로서 미국 헌법을 수호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잘 모르겠네요. 당신이 말하는 것은 내가 들은 대법원 판결과 다릅니다. 대법원은 다른 해석을 하고 있어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60여년 전 폐쇄된 앨커트래즈 교도소 문을 다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흉악한 중범죄자 수감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 거기에 불법 이민자도 포함시켰습니다.
지금은 관광지가 된 앨커트래즈섬은 한때 탈옥이 불가능한 감옥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편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데려오기 위한 선제적 관세 인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을 원하는 건 중국 측이라면서 다만 어느 시점에선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자료조사: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
- 입력 2025-05-05 19:10:18
- 수정2025-05-05 21:30:29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영화에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또, 헌법을 무시하는 발언을 하는가 하면 영화로도 유명한 앨커트래즈 교도소를 부활시키겠다고도 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목표는 영화입니다.
대상은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입니다.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 100% 관세 부과를 지시했다고 SNS를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 영화가 다른 나라에서 촬영지와 인센티브를 제공받으며 제작되는데, 이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논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건(인센티브 제공)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 일이죠. 이건 매우 인기 있는 일이었고, 영화 제작자들은 이걸 좋아합니다."]
미국 내에서는 어떻게 관세를 부과할지 불분명하고, 보복 관세가 시작되면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우려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내에선 불법 이민 문제로 현행법과 충돌 중인데, 이번엔 헌법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불법 체류자 강제 추방과 관련해 헌법 수호 여부를 묻는 언론의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대통령으로서 미국 헌법을 수호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잘 모르겠네요. 당신이 말하는 것은 내가 들은 대법원 판결과 다릅니다. 대법원은 다른 해석을 하고 있어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60여년 전 폐쇄된 앨커트래즈 교도소 문을 다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흉악한 중범죄자 수감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 거기에 불법 이민자도 포함시켰습니다.
지금은 관광지가 된 앨커트래즈섬은 한때 탈옥이 불가능한 감옥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편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데려오기 위한 선제적 관세 인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을 원하는 건 중국 측이라면서 다만 어느 시점에선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자료조사:권애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영화에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또, 헌법을 무시하는 발언을 하는가 하면 영화로도 유명한 앨커트래즈 교도소를 부활시키겠다고도 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목표는 영화입니다.
대상은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입니다.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 100% 관세 부과를 지시했다고 SNS를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 영화가 다른 나라에서 촬영지와 인센티브를 제공받으며 제작되는데, 이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논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건(인센티브 제공)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 일이죠. 이건 매우 인기 있는 일이었고, 영화 제작자들은 이걸 좋아합니다."]
미국 내에서는 어떻게 관세를 부과할지 불분명하고, 보복 관세가 시작되면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우려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내에선 불법 이민 문제로 현행법과 충돌 중인데, 이번엔 헌법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불법 체류자 강제 추방과 관련해 헌법 수호 여부를 묻는 언론의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대통령으로서 미국 헌법을 수호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잘 모르겠네요. 당신이 말하는 것은 내가 들은 대법원 판결과 다릅니다. 대법원은 다른 해석을 하고 있어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60여년 전 폐쇄된 앨커트래즈 교도소 문을 다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흉악한 중범죄자 수감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 거기에 불법 이민자도 포함시켰습니다.
지금은 관광지가 된 앨커트래즈섬은 한때 탈옥이 불가능한 감옥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편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데려오기 위한 선제적 관세 인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을 원하는 건 중국 측이라면서 다만 어느 시점에선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자료조사:권애림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