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과거와 단절에 저항”
입력 2025.07.16 (15:10)
수정 2025.07.16 (1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을 향해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오늘(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들이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제대로 단절해 달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붙는 모습까지 나타났다”며 “이것은 광화문 광장의 세력을 당의 안방까지 끌어들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비판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한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참석하는 토론회를 주최했고, 송언석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참석했다가 논란이 됐습니다.
또, 나경원 의원과 장동혁 의원은 윤희숙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에 대해 “끝없는 갈등과 분열만 되풀이한다”, “서로 남탓하며 내부 총질을 하고 도망치는 우리 당의 못된 습성부터 뜯어고쳐야 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거취’의 의미가 ‘탈당’이냐는 기자 질문에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또,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빠진 이유에 대해선 “오늘은 1차분”이라면서 “과거의 행동은 과거의 잘못이다. 과거 행동을 현재 시점에서 반성·사과 하지 않는 건 현재의 잘못”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이와 함께 국민의힘 소속 의원 전원에게 계파 활동 근절도 요구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 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 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오는 20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107명 의원 전원은 계파 활동을 근절하고 당의 분열을 조장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하고 서약서를 (의총에서)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송언석, 거취 표명 요구에 “당 위한 충정으로 생각”
이에 대해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혁신위가 당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 충정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발표 내용을) 직접 듣지 못해 어떤 취지로 얘기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혁신 방안은 혁신위 내에서 숙의 과정을 거쳐 의결하면, 비대위에 보고하고 최종 혁신 방안이 확정된다”면서 “이번 상황이 어느 절차와 과정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혁신위가 발표한 방안에 대해 당의 총의를 모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당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모든 사람이 최대한 많이 동의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혁신안을 만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윤 의원이 자유공화모임이 있다고 해서 축하해 줬으면 좋겠다고 해서 그 자리에 갔다”면서도 “현장에 가서 보니 분위기가 생각했던 세미나 분위기와 달라서 약간 당황스러웠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축사들이 길어지는 그 사이에 이석을 하게 됐다”면서 “(윤 의원에게) 이런 행사를 계속한다면 윤 의원이 초청하는 행사에는 가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해가 생긴 점에 대해서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당은 이번 행사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거취 표명 요구를 받은 장동혁 의원은 자신의 SNS에 “생각이 다르면 설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며 윤 혁신위원장을 비판했습니다.
장 의원은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라면서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혀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자신의 SNS에 ”이 당을 살리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세우기 위해 저는 언제든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정말로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저를 먼저 혁신위원회로 불러달라“고 밝혔습니다.
윤 의원은 ”저의 모든 것을 걸고 답하겠다“면서 ”저는 누구보다 당을 사랑하고, 누구보다도 정의로움을 외쳐왔다. 당과 보수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그 어떤 희생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오늘(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들이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제대로 단절해 달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붙는 모습까지 나타났다”며 “이것은 광화문 광장의 세력을 당의 안방까지 끌어들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비판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한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참석하는 토론회를 주최했고, 송언석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참석했다가 논란이 됐습니다.
또, 나경원 의원과 장동혁 의원은 윤희숙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에 대해 “끝없는 갈등과 분열만 되풀이한다”, “서로 남탓하며 내부 총질을 하고 도망치는 우리 당의 못된 습성부터 뜯어고쳐야 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거취’의 의미가 ‘탈당’이냐는 기자 질문에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또,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빠진 이유에 대해선 “오늘은 1차분”이라면서 “과거의 행동은 과거의 잘못이다. 과거 행동을 현재 시점에서 반성·사과 하지 않는 건 현재의 잘못”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이와 함께 국민의힘 소속 의원 전원에게 계파 활동 근절도 요구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 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 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오는 20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107명 의원 전원은 계파 활동을 근절하고 당의 분열을 조장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하고 서약서를 (의총에서)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송언석, 거취 표명 요구에 “당 위한 충정으로 생각”
이에 대해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혁신위가 당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 충정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발표 내용을) 직접 듣지 못해 어떤 취지로 얘기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혁신 방안은 혁신위 내에서 숙의 과정을 거쳐 의결하면, 비대위에 보고하고 최종 혁신 방안이 확정된다”면서 “이번 상황이 어느 절차와 과정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혁신위가 발표한 방안에 대해 당의 총의를 모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당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모든 사람이 최대한 많이 동의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혁신안을 만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윤 의원이 자유공화모임이 있다고 해서 축하해 줬으면 좋겠다고 해서 그 자리에 갔다”면서도 “현장에 가서 보니 분위기가 생각했던 세미나 분위기와 달라서 약간 당황스러웠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축사들이 길어지는 그 사이에 이석을 하게 됐다”면서 “(윤 의원에게) 이런 행사를 계속한다면 윤 의원이 초청하는 행사에는 가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해가 생긴 점에 대해서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당은 이번 행사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거취 표명 요구를 받은 장동혁 의원은 자신의 SNS에 “생각이 다르면 설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며 윤 혁신위원장을 비판했습니다.
장 의원은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라면서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혀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자신의 SNS에 ”이 당을 살리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세우기 위해 저는 언제든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정말로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저를 먼저 혁신위원회로 불러달라“고 밝혔습니다.
윤 의원은 ”저의 모든 것을 걸고 답하겠다“면서 ”저는 누구보다 당을 사랑하고, 누구보다도 정의로움을 외쳐왔다. 당과 보수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그 어떤 희생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희숙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과거와 단절에 저항”
-
- 입력 2025-07-16 15:10:18
- 수정2025-07-16 18:13:10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을 향해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오늘(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들이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제대로 단절해 달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붙는 모습까지 나타났다”며 “이것은 광화문 광장의 세력을 당의 안방까지 끌어들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비판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한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참석하는 토론회를 주최했고, 송언석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참석했다가 논란이 됐습니다.
또, 나경원 의원과 장동혁 의원은 윤희숙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에 대해 “끝없는 갈등과 분열만 되풀이한다”, “서로 남탓하며 내부 총질을 하고 도망치는 우리 당의 못된 습성부터 뜯어고쳐야 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거취’의 의미가 ‘탈당’이냐는 기자 질문에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또,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빠진 이유에 대해선 “오늘은 1차분”이라면서 “과거의 행동은 과거의 잘못이다. 과거 행동을 현재 시점에서 반성·사과 하지 않는 건 현재의 잘못”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이와 함께 국민의힘 소속 의원 전원에게 계파 활동 근절도 요구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 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 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오는 20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107명 의원 전원은 계파 활동을 근절하고 당의 분열을 조장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하고 서약서를 (의총에서)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송언석, 거취 표명 요구에 “당 위한 충정으로 생각”
이에 대해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혁신위가 당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 충정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발표 내용을) 직접 듣지 못해 어떤 취지로 얘기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혁신 방안은 혁신위 내에서 숙의 과정을 거쳐 의결하면, 비대위에 보고하고 최종 혁신 방안이 확정된다”면서 “이번 상황이 어느 절차와 과정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혁신위가 발표한 방안에 대해 당의 총의를 모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당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모든 사람이 최대한 많이 동의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혁신안을 만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윤 의원이 자유공화모임이 있다고 해서 축하해 줬으면 좋겠다고 해서 그 자리에 갔다”면서도 “현장에 가서 보니 분위기가 생각했던 세미나 분위기와 달라서 약간 당황스러웠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축사들이 길어지는 그 사이에 이석을 하게 됐다”면서 “(윤 의원에게) 이런 행사를 계속한다면 윤 의원이 초청하는 행사에는 가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해가 생긴 점에 대해서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당은 이번 행사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거취 표명 요구를 받은 장동혁 의원은 자신의 SNS에 “생각이 다르면 설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며 윤 혁신위원장을 비판했습니다.
장 의원은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라면서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혀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자신의 SNS에 ”이 당을 살리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세우기 위해 저는 언제든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정말로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저를 먼저 혁신위원회로 불러달라“고 밝혔습니다.
윤 의원은 ”저의 모든 것을 걸고 답하겠다“면서 ”저는 누구보다 당을 사랑하고, 누구보다도 정의로움을 외쳐왔다. 당과 보수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그 어떤 희생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오늘(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들이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제대로 단절해 달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붙는 모습까지 나타났다”며 “이것은 광화문 광장의 세력을 당의 안방까지 끌어들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비판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한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참석하는 토론회를 주최했고, 송언석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가 참석했다가 논란이 됐습니다.
또, 나경원 의원과 장동혁 의원은 윤희숙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에 대해 “끝없는 갈등과 분열만 되풀이한다”, “서로 남탓하며 내부 총질을 하고 도망치는 우리 당의 못된 습성부터 뜯어고쳐야 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거취’의 의미가 ‘탈당’이냐는 기자 질문에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또,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빠진 이유에 대해선 “오늘은 1차분”이라면서 “과거의 행동은 과거의 잘못이다. 과거 행동을 현재 시점에서 반성·사과 하지 않는 건 현재의 잘못”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이와 함께 국민의힘 소속 의원 전원에게 계파 활동 근절도 요구했습니다.
윤 혁신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 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 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오는 20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107명 의원 전원은 계파 활동을 근절하고 당의 분열을 조장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하고 서약서를 (의총에서)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송언석, 거취 표명 요구에 “당 위한 충정으로 생각”
이에 대해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혁신위가 당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 충정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늘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발표 내용을) 직접 듣지 못해 어떤 취지로 얘기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혁신 방안은 혁신위 내에서 숙의 과정을 거쳐 의결하면, 비대위에 보고하고 최종 혁신 방안이 확정된다”면서 “이번 상황이 어느 절차와 과정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혁신위가 발표한 방안에 대해 당의 총의를 모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당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모든 사람이 최대한 많이 동의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혁신안을 만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윤 의원이 자유공화모임이 있다고 해서 축하해 줬으면 좋겠다고 해서 그 자리에 갔다”면서도 “현장에 가서 보니 분위기가 생각했던 세미나 분위기와 달라서 약간 당황스러웠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축사들이 길어지는 그 사이에 이석을 하게 됐다”면서 “(윤 의원에게) 이런 행사를 계속한다면 윤 의원이 초청하는 행사에는 가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송 비대위원장은 “오해가 생긴 점에 대해서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당은 이번 행사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거취 표명 요구를 받은 장동혁 의원은 자신의 SNS에 “생각이 다르면 설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며 윤 혁신위원장을 비판했습니다.
장 의원은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라면서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혀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자신의 SNS에 ”이 당을 살리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세우기 위해 저는 언제든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정말로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저를 먼저 혁신위원회로 불러달라“고 밝혔습니다.
윤 의원은 ”저의 모든 것을 걸고 답하겠다“면서 ”저는 누구보다 당을 사랑하고, 누구보다도 정의로움을 외쳐왔다. 당과 보수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그 어떤 희생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