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호우에 인명피해 잇따라…실종자 수색 상황
입력 2025.07.21 (19:01)
수정 2025.07.2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말 사이 특히 경기 북부 지역에 많은 비가 기습적으로 쏟아졌습니다.
폭우로 이 지역에서만 4명이 숨졌고, 실종자도 다수 나왔습니다.
김혜주 기자 실종자 수색에 진척은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오후 1시 10분쯤 경기 가평 제령리에서 실종자 한 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신원을 확인해봤더니, 이번 집중 호우로 산사태에 휩쓸렸던 70대 남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이번 폭우로 가평에서만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습니다.
나머지 실종자들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요.
가평 조종면 캠핑장에서 실종된 엄마와 아들 2명, 또 대보리 낚시터 실종자 1명 등이 포함됐습니다.
여기에 오늘 오전 9시 20분쯤 가평군 덕현리에서 50대 남성이 물에 빠졌다는 실종 신고가 추가로 들어와, 소방당국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가평 외에, 어제 오후 포천 백운계곡에서도 50대 남성이 실종됐는데, 결국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7시부터 하천변을 따라 실종자 수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인원 4백여 명과 구조견, 드론 등을 동원해 일몰 전까지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폭우가 계속 이어지면서 다른 지역도 피해가 클 것 같은데요.
전국 피해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16일부터 이어진 폭우로 어젯밤 9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1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곳은 경남 산청군인데요.
경남 산청이 10명, 경기 가평과 충남 서산이 각각 2명, 경기 오산과 포천, 충남 당진, 광주 북구 각 1명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건 현재까지 발표된 행정안전부의 공식 통계인데요.
구조, 수색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어서 인명피해는 추가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폭우로 전국 15개 시도, 95개 시군구에서 만 4천여 명이 한때 대피했습니다.
이 가운데 2천여 명은 임시 주거시설을 제공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주말 사이 특히 경기 북부 지역에 많은 비가 기습적으로 쏟아졌습니다.
폭우로 이 지역에서만 4명이 숨졌고, 실종자도 다수 나왔습니다.
김혜주 기자 실종자 수색에 진척은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오후 1시 10분쯤 경기 가평 제령리에서 실종자 한 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신원을 확인해봤더니, 이번 집중 호우로 산사태에 휩쓸렸던 70대 남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이번 폭우로 가평에서만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습니다.
나머지 실종자들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요.
가평 조종면 캠핑장에서 실종된 엄마와 아들 2명, 또 대보리 낚시터 실종자 1명 등이 포함됐습니다.
여기에 오늘 오전 9시 20분쯤 가평군 덕현리에서 50대 남성이 물에 빠졌다는 실종 신고가 추가로 들어와, 소방당국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가평 외에, 어제 오후 포천 백운계곡에서도 50대 남성이 실종됐는데, 결국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7시부터 하천변을 따라 실종자 수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인원 4백여 명과 구조견, 드론 등을 동원해 일몰 전까지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폭우가 계속 이어지면서 다른 지역도 피해가 클 것 같은데요.
전국 피해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16일부터 이어진 폭우로 어젯밤 9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1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곳은 경남 산청군인데요.
경남 산청이 10명, 경기 가평과 충남 서산이 각각 2명, 경기 오산과 포천, 충남 당진, 광주 북구 각 1명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건 현재까지 발표된 행정안전부의 공식 통계인데요.
구조, 수색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어서 인명피해는 추가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폭우로 전국 15개 시도, 95개 시군구에서 만 4천여 명이 한때 대피했습니다.
이 가운데 2천여 명은 임시 주거시설을 제공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북부 호우에 인명피해 잇따라…실종자 수색 상황
-
- 입력 2025-07-21 19:01:52
- 수정2025-07-21 19:46:15

[앵커]
주말 사이 특히 경기 북부 지역에 많은 비가 기습적으로 쏟아졌습니다.
폭우로 이 지역에서만 4명이 숨졌고, 실종자도 다수 나왔습니다.
김혜주 기자 실종자 수색에 진척은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오후 1시 10분쯤 경기 가평 제령리에서 실종자 한 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신원을 확인해봤더니, 이번 집중 호우로 산사태에 휩쓸렸던 70대 남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이번 폭우로 가평에서만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습니다.
나머지 실종자들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요.
가평 조종면 캠핑장에서 실종된 엄마와 아들 2명, 또 대보리 낚시터 실종자 1명 등이 포함됐습니다.
여기에 오늘 오전 9시 20분쯤 가평군 덕현리에서 50대 남성이 물에 빠졌다는 실종 신고가 추가로 들어와, 소방당국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가평 외에, 어제 오후 포천 백운계곡에서도 50대 남성이 실종됐는데, 결국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7시부터 하천변을 따라 실종자 수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인원 4백여 명과 구조견, 드론 등을 동원해 일몰 전까지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폭우가 계속 이어지면서 다른 지역도 피해가 클 것 같은데요.
전국 피해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16일부터 이어진 폭우로 어젯밤 9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1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곳은 경남 산청군인데요.
경남 산청이 10명, 경기 가평과 충남 서산이 각각 2명, 경기 오산과 포천, 충남 당진, 광주 북구 각 1명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건 현재까지 발표된 행정안전부의 공식 통계인데요.
구조, 수색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어서 인명피해는 추가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폭우로 전국 15개 시도, 95개 시군구에서 만 4천여 명이 한때 대피했습니다.
이 가운데 2천여 명은 임시 주거시설을 제공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주말 사이 특히 경기 북부 지역에 많은 비가 기습적으로 쏟아졌습니다.
폭우로 이 지역에서만 4명이 숨졌고, 실종자도 다수 나왔습니다.
김혜주 기자 실종자 수색에 진척은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오후 1시 10분쯤 경기 가평 제령리에서 실종자 한 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신원을 확인해봤더니, 이번 집중 호우로 산사태에 휩쓸렸던 70대 남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이번 폭우로 가평에서만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습니다.
나머지 실종자들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요.
가평 조종면 캠핑장에서 실종된 엄마와 아들 2명, 또 대보리 낚시터 실종자 1명 등이 포함됐습니다.
여기에 오늘 오전 9시 20분쯤 가평군 덕현리에서 50대 남성이 물에 빠졌다는 실종 신고가 추가로 들어와, 소방당국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가평 외에, 어제 오후 포천 백운계곡에서도 50대 남성이 실종됐는데, 결국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7시부터 하천변을 따라 실종자 수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인원 4백여 명과 구조견, 드론 등을 동원해 일몰 전까지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폭우가 계속 이어지면서 다른 지역도 피해가 클 것 같은데요.
전국 피해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16일부터 이어진 폭우로 어젯밤 9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1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곳은 경남 산청군인데요.
경남 산청이 10명, 경기 가평과 충남 서산이 각각 2명, 경기 오산과 포천, 충남 당진, 광주 북구 각 1명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건 현재까지 발표된 행정안전부의 공식 통계인데요.
구조, 수색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어서 인명피해는 추가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폭우로 전국 15개 시도, 95개 시군구에서 만 4천여 명이 한때 대피했습니다.
이 가운데 2천여 명은 임시 주거시설을 제공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김혜주 기자 khj@kbs.co.kr
김혜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