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관, 미 상무장관과 1시간 20분 무역협상…막바지 총력

입력 2025.07.25 (08:12) 수정 2025.07.25 (1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1주일 앞두고 정부가 막바지 무역협상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현지시각 24일 워싱턴DC에서 미국 측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양국 산업장관의 만남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 30분부터 1시간 20분간 진행됐습니다.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함께 했습니다.

김 장관은 현재 미국에 머무르는 우리 측 최고위급 대표입니다. 당초 오는 25일로 예정됐던 경제·통상 분야 '한미 2+2 장관급 회담'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로 무산됐기 때문입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장도 함께 연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다시 8월 1일까지로 연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협상 시한은 1주일을 남겨 두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한국에 설정된 25%의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낮추는 게 협상 목표입니다. 최근 미국과 일본이 무역 협상을 타결한 것은 큰 부담으로 여겨집니다.

일본은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를 포함해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애초 25%에서 15%로 대폭 낮췄습니다. 이 협상을 타결하면서 일본은 향후 5천500억 달러(약 759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김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의 숙소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미국 상무장관과의 만남은 잘 진행됐느냐', '협상에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느냐' 등의 물음에 "일단 미국과의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만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업장관, 미 상무장관과 1시간 20분 무역협상…막바지 총력
    • 입력 2025-07-25 08:12:53
    • 수정2025-07-25 10:58:52
    국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1주일 앞두고 정부가 막바지 무역협상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현지시각 24일 워싱턴DC에서 미국 측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양국 산업장관의 만남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 30분부터 1시간 20분간 진행됐습니다.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함께 했습니다.

김 장관은 현재 미국에 머무르는 우리 측 최고위급 대표입니다. 당초 오는 25일로 예정됐던 경제·통상 분야 '한미 2+2 장관급 회담'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로 무산됐기 때문입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장도 함께 연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다시 8월 1일까지로 연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협상 시한은 1주일을 남겨 두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한국에 설정된 25%의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낮추는 게 협상 목표입니다. 최근 미국과 일본이 무역 협상을 타결한 것은 큰 부담으로 여겨집니다.

일본은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를 포함해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애초 25%에서 15%로 대폭 낮췄습니다. 이 협상을 타결하면서 일본은 향후 5천500억 달러(약 759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김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의 숙소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미국 상무장관과의 만남은 잘 진행됐느냐', '협상에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느냐' 등의 물음에 "일단 미국과의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만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