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앞서 일본 가는 외교장관…“한미일 협력 업그레이드”

입력 2025.07.29 (14:44) 수정 2025.07.29 (14: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취임 뒤 일본을 먼저 방문한 뒤 미국으로 향하는 데 대해 “한일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뿐 아니라 한미일 상호 협력 관계, 또 이재명 정부 대외 정책을 실용 외교에 기초해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은 오늘(29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위해 일본으로 출국하는 길에 취재진과 만나 미국에 “외교부 장관 돼서 맨 먼저 일본 간 사례가 없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 동북아 상황 등을 두루 논의하고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협력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한일 간의 중요한 이슈인 역사 문제를 포함해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앞서 타결된 미일 관세 협상 관련 의견 교환 여부에 대해선 “설명한다면 얘기를 듣겠습니다만 우리와는 다른 방향으로 되는 것 같아서 꼬치꼬치 묻고 그럴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또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셔틀 외교 복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일본 측에 이와 관련한 메시지를 꼭 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방문 이후 현지시간 3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데 대해선 “(관세 협상 관련) 가능한 한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간 주요 의제로 대두된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관련 논의 등도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조 장관은 오늘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비핵화 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다른 목적의 대화는 가능하다는 여지를 둔 담화를 발표한 데 대해서는 “더 분석해 보고 대응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에 앞서 일본 가는 외교장관…“한미일 협력 업그레이드”
    • 입력 2025-07-29 14:44:29
    • 수정2025-07-29 14:47:03
    정치
조현 외교부 장관이 취임 뒤 일본을 먼저 방문한 뒤 미국으로 향하는 데 대해 “한일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뿐 아니라 한미일 상호 협력 관계, 또 이재명 정부 대외 정책을 실용 외교에 기초해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은 오늘(29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위해 일본으로 출국하는 길에 취재진과 만나 미국에 “외교부 장관 돼서 맨 먼저 일본 간 사례가 없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 동북아 상황 등을 두루 논의하고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협력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한일 간의 중요한 이슈인 역사 문제를 포함해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앞서 타결된 미일 관세 협상 관련 의견 교환 여부에 대해선 “설명한다면 얘기를 듣겠습니다만 우리와는 다른 방향으로 되는 것 같아서 꼬치꼬치 묻고 그럴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또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셔틀 외교 복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일본 측에 이와 관련한 메시지를 꼭 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방문 이후 현지시간 3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데 대해선 “(관세 협상 관련) 가능한 한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간 주요 의제로 대두된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관련 논의 등도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조 장관은 오늘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비핵화 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다른 목적의 대화는 가능하다는 여지를 둔 담화를 발표한 데 대해서는 “더 분석해 보고 대응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