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소고기 지켰다’…대구·경북 관세 영향은?

입력 2025.07.31 (19:07) 수정 2025.07.31 (1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지역도 산업 분야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농축산업은 한시름 덜었지만, 철강과 자동차 부품 등 일부 분야는 어려움이 가중될 걸로 예상됩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이 강하게 요구했던 농축산 시장 개방 확대.

한미 관세 협상 결과,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습니다.

국내 최대 한우 산지이자 쌀 생산량 전국 4위인 경북은 타격을 피하게 됐습니다.

[장성대/한우협회 대구경북지회장 : "30개월령의 규제를 풀어서 더 물량이 들어왔을 때 한우하고의 가격 경쟁력이 아무래도 저희 한우가 많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소고기가 빠졌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 한우 농가들은 일단 한숨 놓는 그런 상황입니다."]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는 지역 기업도 있습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2천억 달러, 우리 돈 27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하면서 사업에 참여할 기회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양금희/경북도 경제부지사 : "미국에 진출해서 기업이 성장하면 그 성장의 열매가 지역에 재투자되는 그러한 형태의 선순환 구조를 가지지 않을까…."]

반면, 종전 무관세이던 자동차는 15%의 관세를 물게 됐습니다.

수출 경쟁국인 일본, 유럽 연합과 같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되면서 대구·경북 자동차 부품 산업에 연쇄 타격이 우려됩니다.

[김윤정/대구시 미래모빌리티과장 : "아무래도 현대, 기아차 중심의 (하청업체가) 많다 보니까 매출 의존도 굉장히 높고 타격이 좀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납품 단가 (인상)에 대한 압박이 많지 않을까…."]

침체일로의 철강도 기존 관세율 50%가 유지돼 어려움이 커졌습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관세 협상 여파를 분석하고 후속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영상편집:김희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쌀·소고기 지켰다’…대구·경북 관세 영향은?
    • 입력 2025-07-31 19:07:04
    • 수정2025-07-31 19:14:10
    뉴스7(대구)
[앵커]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지역도 산업 분야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농축산업은 한시름 덜었지만, 철강과 자동차 부품 등 일부 분야는 어려움이 가중될 걸로 예상됩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이 강하게 요구했던 농축산 시장 개방 확대.

한미 관세 협상 결과, 소고기와 쌀 시장 추가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습니다.

국내 최대 한우 산지이자 쌀 생산량 전국 4위인 경북은 타격을 피하게 됐습니다.

[장성대/한우협회 대구경북지회장 : "30개월령의 규제를 풀어서 더 물량이 들어왔을 때 한우하고의 가격 경쟁력이 아무래도 저희 한우가 많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소고기가 빠졌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 한우 농가들은 일단 한숨 놓는 그런 상황입니다."]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는 지역 기업도 있습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2천억 달러, 우리 돈 27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하면서 사업에 참여할 기회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양금희/경북도 경제부지사 : "미국에 진출해서 기업이 성장하면 그 성장의 열매가 지역에 재투자되는 그러한 형태의 선순환 구조를 가지지 않을까…."]

반면, 종전 무관세이던 자동차는 15%의 관세를 물게 됐습니다.

수출 경쟁국인 일본, 유럽 연합과 같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되면서 대구·경북 자동차 부품 산업에 연쇄 타격이 우려됩니다.

[김윤정/대구시 미래모빌리티과장 : "아무래도 현대, 기아차 중심의 (하청업체가) 많다 보니까 매출 의존도 굉장히 높고 타격이 좀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납품 단가 (인상)에 대한 압박이 많지 않을까…."]

침체일로의 철강도 기존 관세율 50%가 유지돼 어려움이 커졌습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관세 협상 여파를 분석하고 후속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영상편집:김희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