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자녀 61% 대학 진학…소득 수준도 향상

입력 2025.07.31 (19:27) 수정 2025.07.3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다문화 가구의 청소년 열 명 중 여섯 명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책 지원이 늘면서 경제 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진선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대학 진학률은 61.9%로 나타났습니다.

열 명 중 여섯 명 이상이 대학에 진학했다는 것으로 3년 전보다 20%p 이상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 청소년과의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는 31%p에서 13%p로 크게 좁혀졌습니다.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뒤 정책 지원이 늘면서,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거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이재웅/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 : "기초 학습이 부족한 초등생들에게 별도로 서비스하는 사업도 하고 있고 초중고생들의 진로에 관련된 상담이나 이런 것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전보다 좋아졌고, 국내 정착 기간도 길어졌습니다.

월 평균 소득 300만 원이 넘는 가구는 65.8%로, 3년 전보다 15%p 늘었습니다.

결혼 이민자와 귀화자 가운데 한국에서 15년 이상 거주한 경우도 절반(52.6%)을 넘어섰습니다.

고용률도 62.7%로 전보다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긴 했지만, 근로 직종은 '단순 노무직'이 열 명 중 네 명 꼴로 나타났습니다.

차별을 경험한 경우는 13%로, 열 명 중 여덟 명은 차별을 당해도 '참는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당한 경우는 9.8%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주위에 도움을 요청한 피해자는 30%에 불과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문화 자녀 61% 대학 진학…소득 수준도 향상
    • 입력 2025-07-31 19:27:28
    • 수정2025-07-31 19:46:53
    뉴스 7
[앵커]

국내 다문화 가구의 청소년 열 명 중 여섯 명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책 지원이 늘면서 경제 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진선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대학 진학률은 61.9%로 나타났습니다.

열 명 중 여섯 명 이상이 대학에 진학했다는 것으로 3년 전보다 20%p 이상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 청소년과의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는 31%p에서 13%p로 크게 좁혀졌습니다.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뒤 정책 지원이 늘면서,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거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이재웅/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 : "기초 학습이 부족한 초등생들에게 별도로 서비스하는 사업도 하고 있고 초중고생들의 진로에 관련된 상담이나 이런 것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전보다 좋아졌고, 국내 정착 기간도 길어졌습니다.

월 평균 소득 300만 원이 넘는 가구는 65.8%로, 3년 전보다 15%p 늘었습니다.

결혼 이민자와 귀화자 가운데 한국에서 15년 이상 거주한 경우도 절반(52.6%)을 넘어섰습니다.

고용률도 62.7%로 전보다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긴 했지만, 근로 직종은 '단순 노무직'이 열 명 중 네 명 꼴로 나타났습니다.

차별을 경험한 경우는 13%로, 열 명 중 여덟 명은 차별을 당해도 '참는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당한 경우는 9.8%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주위에 도움을 요청한 피해자는 30%에 불과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