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제조업 경기 개선 전망”…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업황 개선
입력 2025.08.24 (11:15)
수정 2025.08.24 (11: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9월 국내 제조업 업황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업황 개선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8∼14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9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5로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9월 업황 전망 PSI는 전달(102)보다 소폭(3포인트) 상승하면서 3개월 연속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세부 지표로는 수출(98)이 전달보다 다소(3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기준선을 밑돌았고, 내수는 전달과 같은 104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137), 디스플레이(133), 전자(108) 등 ICT 업종과 철강(113), 바이오·헬스(105)가 기준선인 100 이상을 나타내 전망이 밝았고, 화학(100)은 기준선에 걸쳤습니다.
자동차(86), 섬유(92), 조선(93), 기계(94) 등은 기준선을 밑돌았습니다.
한편, 8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02로 기준치를 상회했으나 전월(104)보다 2포인트 낮아지면서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내수(99) 역시 4개월 만에 하락하면서 기준치에 못 미쳤고, 8월에 기준치를 상회했던 수출(93)과 생산(99)은 모두 기준치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사진 출처 :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은 지난 8∼14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9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5로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9월 업황 전망 PSI는 전달(102)보다 소폭(3포인트) 상승하면서 3개월 연속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세부 지표로는 수출(98)이 전달보다 다소(3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기준선을 밑돌았고, 내수는 전달과 같은 104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137), 디스플레이(133), 전자(108) 등 ICT 업종과 철강(113), 바이오·헬스(105)가 기준선인 100 이상을 나타내 전망이 밝았고, 화학(100)은 기준선에 걸쳤습니다.
자동차(86), 섬유(92), 조선(93), 기계(94) 등은 기준선을 밑돌았습니다.
한편, 8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02로 기준치를 상회했으나 전월(104)보다 2포인트 낮아지면서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내수(99) 역시 4개월 만에 하락하면서 기준치에 못 미쳤고, 8월에 기준치를 상회했던 수출(93)과 생산(99)은 모두 기준치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사진 출처 : 산업연구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월 제조업 경기 개선 전망”…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업황 개선
-
- 입력 2025-08-24 11:15:11
- 수정2025-08-24 11:18:16

9월 국내 제조업 업황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업황 개선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8∼14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9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5로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9월 업황 전망 PSI는 전달(102)보다 소폭(3포인트) 상승하면서 3개월 연속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세부 지표로는 수출(98)이 전달보다 다소(3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기준선을 밑돌았고, 내수는 전달과 같은 104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137), 디스플레이(133), 전자(108) 등 ICT 업종과 철강(113), 바이오·헬스(105)가 기준선인 100 이상을 나타내 전망이 밝았고, 화학(100)은 기준선에 걸쳤습니다.
자동차(86), 섬유(92), 조선(93), 기계(94) 등은 기준선을 밑돌았습니다.
한편, 8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02로 기준치를 상회했으나 전월(104)보다 2포인트 낮아지면서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내수(99) 역시 4개월 만에 하락하면서 기준치에 못 미쳤고, 8월에 기준치를 상회했던 수출(93)과 생산(99)은 모두 기준치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사진 출처 :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은 지난 8∼14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9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5로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9월 업황 전망 PSI는 전달(102)보다 소폭(3포인트) 상승하면서 3개월 연속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세부 지표로는 수출(98)이 전달보다 다소(3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기준선을 밑돌았고, 내수는 전달과 같은 104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137), 디스플레이(133), 전자(108) 등 ICT 업종과 철강(113), 바이오·헬스(105)가 기준선인 100 이상을 나타내 전망이 밝았고, 화학(100)은 기준선에 걸쳤습니다.
자동차(86), 섬유(92), 조선(93), 기계(94) 등은 기준선을 밑돌았습니다.
한편, 8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02로 기준치를 상회했으나 전월(104)보다 2포인트 낮아지면서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내수(99) 역시 4개월 만에 하락하면서 기준치에 못 미쳤고, 8월에 기준치를 상회했던 수출(93)과 생산(99)은 모두 기준치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사진 출처 : 산업연구원 제공]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