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사람에게 충성 안 해”…“계엄령은 가치중립적인 ‘칼’”

입력 2025.04.21 (21:19) 수정 2025.04.21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1일)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한 지휘관은 부당한 지시는 따를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과거 윤 전 대통령이 했던 발언인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 발언의 배경은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3년 윤석열 당시 검사를 일약 유명인으로 만든 발언입니다.

[윤석열/당시 여주지청장/2013년 국정감사 :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가 오늘도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12년이 지난 오늘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특전사 간부로부터 같은 말을 듣게 됐습니다.

지난 재판에 이어 출석한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은 증인 신문을 마치기 전 "제가 군 생활을 23년 하면서 바뀌지 않은 게 있다"며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고,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예전에 했던 발언을 빗대 자신도 부당한 지시를 따를 수 없었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힌 겁니다.

부하들 대신 자신만 항명죄로 처벌해달라고 거듭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엔 침묵을 지키던 윤석열 전 대통령도 재판 막바지에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계엄령은 요리도, 범죄도 가능한 가치중립적인 칼과 같다"며 "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이라고 하면 안 된다"고도 말했습니다.

계엄 자체가 내란이라는 걸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상황에서 군인의 질서 유지는 당연한 것"이라며 "유혈 사태가 없었던 계엄은 '내란 행위'가 될 수 없다"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한 헌법재판소 결정문을 증거로 신청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재판은 연말까지 28차례 기일이 확정됐고, 3차 공판은 다음달 12일 열립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도 사람에게 충성 안 해”…“계엄령은 가치중립적인 ‘칼’”
    • 입력 2025-04-21 21:19:35
    • 수정2025-04-21 22:11:31
    뉴스 9
[앵커]

오늘(21일)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한 지휘관은 부당한 지시는 따를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과거 윤 전 대통령이 했던 발언인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 발언의 배경은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3년 윤석열 당시 검사를 일약 유명인으로 만든 발언입니다.

[윤석열/당시 여주지청장/2013년 국정감사 :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가 오늘도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12년이 지난 오늘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특전사 간부로부터 같은 말을 듣게 됐습니다.

지난 재판에 이어 출석한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은 증인 신문을 마치기 전 "제가 군 생활을 23년 하면서 바뀌지 않은 게 있다"며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고,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예전에 했던 발언을 빗대 자신도 부당한 지시를 따를 수 없었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힌 겁니다.

부하들 대신 자신만 항명죄로 처벌해달라고 거듭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엔 침묵을 지키던 윤석열 전 대통령도 재판 막바지에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계엄령은 요리도, 범죄도 가능한 가치중립적인 칼과 같다"며 "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이라고 하면 안 된다"고도 말했습니다.

계엄 자체가 내란이라는 걸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상황에서 군인의 질서 유지는 당연한 것"이라며 "유혈 사태가 없었던 계엄은 '내란 행위'가 될 수 없다"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한 헌법재판소 결정문을 증거로 신청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재판은 연말까지 28차례 기일이 확정됐고, 3차 공판은 다음달 12일 열립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