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류 실종 23시간 몰랐다?…대통령실 “공직기강 해이시 엄하게 책임” [지금뉴스]

입력 2025.07.21 (15: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종시의 폭우 대응에 빈틈이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폭우가 내린 지난 17일 새벽, 세종시 나성동 다정교 인근 하천에서 40대 남성이 물에 휩쓸려 실종됐지만, 다음 날 오전까지도 세종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를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오늘 브리핑에서 세종시에서 발생한 '급류 실종' 시민에 대해 경찰과 소방 당국, 지방자치단체 재난지휘부가 무려 23시간 동안 모르고 있었단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경찰이 소방본부에 사고 상황을 전파했음에도, 세종시의 재난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사고 자체를 한참 늦게 인지했고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만약 심각한 공직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또 "최근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로 수십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며 "기후변화로 극한 호우가 일상이 된 만큼, 재난 대응 체계 신속 정비와 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 지급을 신속히 검토하는 등 중앙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며 "이에 발맞춰 지자체도 수해복구와 예방에 총력을 다해주길 당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재난은 정쟁의 대상 아니"라며 "여·야·정이 함께 재난 극복에 총력을 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폭우 대응과 관련해 대통령실의 움직임이 없었다는 야권 일각의 주장에도 반박했습니다.

강유정 대변인은 "오늘 오후 호우와 관련된 브리핑을 이례적으로 한 이유는 사실 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난 상황이 정쟁에 이용되거나 특정 논평에 이용되고 있어서"라며 "사실 관계를 바로잡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이 있어서 브리핑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난 18일 오전 재난 상황 점검 회의가 있었고,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만나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며 "(대통령이) 특별재난지역을 빠르게 선정하는 것을 검토하라고 했고, 어제 상황 점검 회의에서는 재난과 관련된 대응을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에 대해 대통령실이 움직임이 없었다거나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는 건 사실에 위배된다"며 "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류 실종 23시간 몰랐다?…대통령실 “공직기강 해이시 엄하게 책임” [지금뉴스]
    • 입력 2025-07-21 15:24:15
    영상K
세종시의 폭우 대응에 빈틈이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폭우가 내린 지난 17일 새벽, 세종시 나성동 다정교 인근 하천에서 40대 남성이 물에 휩쓸려 실종됐지만, 다음 날 오전까지도 세종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를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오늘 브리핑에서 세종시에서 발생한 '급류 실종' 시민에 대해 경찰과 소방 당국, 지방자치단체 재난지휘부가 무려 23시간 동안 모르고 있었단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경찰이 소방본부에 사고 상황을 전파했음에도, 세종시의 재난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사고 자체를 한참 늦게 인지했고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만약 심각한 공직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또 "최근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로 수십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며 "기후변화로 극한 호우가 일상이 된 만큼, 재난 대응 체계 신속 정비와 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 지급을 신속히 검토하는 등 중앙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며 "이에 발맞춰 지자체도 수해복구와 예방에 총력을 다해주길 당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재난은 정쟁의 대상 아니"라며 "여·야·정이 함께 재난 극복에 총력을 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폭우 대응과 관련해 대통령실의 움직임이 없었다는 야권 일각의 주장에도 반박했습니다.

강유정 대변인은 "오늘 오후 호우와 관련된 브리핑을 이례적으로 한 이유는 사실 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난 상황이 정쟁에 이용되거나 특정 논평에 이용되고 있어서"라며 "사실 관계를 바로잡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이 있어서 브리핑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난 18일 오전 재난 상황 점검 회의가 있었고,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만나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며 "(대통령이) 특별재난지역을 빠르게 선정하는 것을 검토하라고 했고, 어제 상황 점검 회의에서는 재난과 관련된 대응을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에 대해 대통령실이 움직임이 없었다거나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는 건 사실에 위배된다"며 "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