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0년, 절반이 아열대화”…점점 빨라진다

입력 2025.07.13 (21:10) 수정 2025.07.13 (21: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날씨가 쨍쨍하다가도 돌연 쏟아지는 소낙비 때문에 당황한 경우가 요즘 종종 있습니다.

이게 동남아에서 나타나는 스콜인지,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가 된 건지, 궁금증이 많습니다.

실태와 원인, 한반도 기후 전망까지 이세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햇볕이 내리쬐던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한바탕 비를 쏟고 물러갑니다.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대류에 의해 나타나는 세찬 비, '스콜'과 비슷한 소나기가 내린 겁니다.

점차 아열대화하는 한반도 기후는 어느 지점까지 와 있을까.

기상청과 국립기상과학원이 지난 2020년 내놓은 보고서입니다.

과거 109년 간의 변화를 분석했더니 평균 기온이 약 1.6도 오른 걸로 나타났습니다.

KBS가 기상청에 의뢰해 지난해까지 113년 동안으로 분석 기간을 늘리자, 평균 기온 상승이 1.8도로 집계됐습니다.

불과 4년 간의 데이터를 추가했을 뿐인데, 0.2도나 올라간 겁니다.

최근 10년 간의 기온 상승세는 전체 기간의 5배 수준으로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임보영/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사무관 : "더욱 두드러지는 점은 2020년대부터 더욱 급격한 상승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열대화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번 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의 절반 이상이 아열대성 기후로 바뀔 거란 게 기존 전망이었는데, 더 확대될 수 있습니다.

[최다솜/기상청 기후위기협력팀 주무관 : "월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인 월이 8개월 이상인 지역을 아열대 기후로 구분하기 때문에 기온이 계속해서 추세대로 오른다면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지점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열대화를 막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은 국제 사회의 이해 충돌로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100년, 절반이 아열대화”…점점 빨라진다
    • 입력 2025-07-13 21:10:48
    • 수정2025-07-13 21:39:46
    뉴스 9
[앵커]

날씨가 쨍쨍하다가도 돌연 쏟아지는 소낙비 때문에 당황한 경우가 요즘 종종 있습니다.

이게 동남아에서 나타나는 스콜인지,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가 된 건지, 궁금증이 많습니다.

실태와 원인, 한반도 기후 전망까지 이세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햇볕이 내리쬐던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한바탕 비를 쏟고 물러갑니다.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대류에 의해 나타나는 세찬 비, '스콜'과 비슷한 소나기가 내린 겁니다.

점차 아열대화하는 한반도 기후는 어느 지점까지 와 있을까.

기상청과 국립기상과학원이 지난 2020년 내놓은 보고서입니다.

과거 109년 간의 변화를 분석했더니 평균 기온이 약 1.6도 오른 걸로 나타났습니다.

KBS가 기상청에 의뢰해 지난해까지 113년 동안으로 분석 기간을 늘리자, 평균 기온 상승이 1.8도로 집계됐습니다.

불과 4년 간의 데이터를 추가했을 뿐인데, 0.2도나 올라간 겁니다.

최근 10년 간의 기온 상승세는 전체 기간의 5배 수준으로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임보영/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사무관 : "더욱 두드러지는 점은 2020년대부터 더욱 급격한 상승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열대화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번 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의 절반 이상이 아열대성 기후로 바뀔 거란 게 기존 전망이었는데, 더 확대될 수 있습니다.

[최다솜/기상청 기후위기협력팀 주무관 : "월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인 월이 8개월 이상인 지역을 아열대 기후로 구분하기 때문에 기온이 계속해서 추세대로 오른다면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지점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열대화를 막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은 국제 사회의 이해 충돌로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